반응형

아토믹 코틀린 3

[Kotlin] 코틀린 조건문(if, when) 활용 및 예제

조건문은 프로그램 내에서 특정 조건이 참(true) 또는 거짓(false) 일 때 서로 다른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어문이다. 조건문은 프로그램의 흐름을 조절하고 다양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코틀린은 조건 제어문으로 if 문과 when 식을 제공하고 있다. if 문 if 키워드는 식을 검사해 그 값이 true나 false 중 어느 것인지 알아내고, 그 결과에 따라 작업을 수행한다. 이처럼 참이나 거짓을 표시하는 식은 불리언(Boolean)이라고 한다. 코틀린의 if 문의 간단한 사용 예시는 다음과 같다. fun main() { if (1 > 0) { println("1은 0보다 크다.") } if (10 < 11) { println("10 < 11") println("10은 11보..

[Kotlin] 코틀린 함수(Function) 개념 및 예제

💡 함수(function)는 이름이 있는 작은 프로그램과 같으며, 다른 함수에서 그 이름으로 실행하거나 호출(invoke)할 수 있다. 함수(Function) 함수는 일련의 동작을 묶어주며,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구성하고 코드를 재사용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 함수에 정보를 전달하면, 함수는 그 정보를 이용해 계산을 수행하고 결과를 만들어낸다. 코틀린 함수의 기본적인 형태는 다음과 같다. fun 함수이름(p1: 타입1, p2: 타입2, ...): 반환타입 { 구현할 코드... return 결과 } p1과 p2는 함수에 전달할 파라미터(parameter)다. 각 파라미터는 괄호 안에 식별자와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콜론(:)으로 구분한다. 파라미터 뒤에 함수가 생성할 결과의 타입을 나타내는 반환 타..

[Kotlin] 코틀린 데이터 타입 이해하기

데이터 타입 코틀린에서 소수 5.5와 정수 5를 더해보자. fun main() { println(5.5 + 5) } // 출력 10.5 10.5라는 새로운 소수가 출력된다는 것은 이미 예상했을 것이다. 코틀린에서는 5.5와 같은 소수는 Double, 5와 같은 정수를 Int 타입이다. 또한 두 수를 더한 결과는 10.5라는 Double 타입으로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코틀린은 타입을 사용해 5.5 + 5라는 식이 올바른 식인지 검증하고, Double 타입의 새 값을 만들어 연산 결과를 저장한다. 타입(Type)은 사용자가 데이터를 어떤 식으로 사용할지를 코틀린에게 전달해 준다. 데이터에 대해 적용할 수 있는 연산, 데이터의 의미, 타입에 속한 값을 저장하는 방식을 정의한다. 그렇다면 문자열 타입인 St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