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에러 6

[Linux] SSH 접속 시 WARNING: UNPROTECTED PRIVATE KEY FILE! 문제 해결 방법

문제 데스크톱 환경에서 AWS EC2 인스턴스에 SSH Key로 접속할 때 개인키를 통해 접속하다가 다음과 같은 문제를 마주했다. @@@@@@@@@@@@@@@@@@@@@@@@@@@@@@@@@@@@@@@@@@@@@@@@@@@@@@@@@@@ @ WARNING: UNPROTECTED PRIVATE KEY FILE! @ @@@@@@@@@@@@@@@@@@@@@@@@@@@@@@@@@@@@@@@@@@@@@@@@@@@@@@@@@@@ Permissions 0644 for './example.pem' are too open. It is required that your private key files are NOT accessible by others. This private key will be ignored. Load..

org.junit.runners.model.InvalidTestClassError

import org.junit.runner.RunWith;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 @RunWith(SpringRunner.class) @SpringBootTest public class OrderServiceTest { @Autowired OrderService orderService; @Test public void 상품주문() throws 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회원"); ... } } org.junit.runners.model.InvalidTestClassError: Invalid test class 'com.service.OrderServiceTest': 1..

[H2] Database "C:/Users/사용자명/test" not found, either pre-create it or allow remote database creation (not recommended in secure environments) [90149-200]

에러 원인 H2 데이터베이스 설치 후 실행할 때 발생하는 오류이다. Database "C:/Users/사용자계정/test" not found, either pre-create it or allow remote database creation (not recommended in secure environments) [90149-200] 해석하면 해당 경로에 test.db 데이터베이스가 없어서 접근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그렇다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당 경로에 test라는 이름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해야 한다. 첫 번째 방법 C:\Program Files (x86)\H2\bin 경로에 h2.bat을 실행하여 콘솔 창을 띄운다. 브라우저 주소의 IP 부분을 localhost:8082로 변경하여 접속한..

[Java] 스택 트레이스(Stack Trace) 제대로 알고 읽기

본 내용은 OKKY에서 활동하시는 fender 님의 게시물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https://okky.kr/articles/338405 OKKY - All That Developer OKKY는 국내 최대 개발자 지식공유 플랫폼입니다. 개발자에게 필요한 기술 Q&A, 아티클, 커리어, 네트워킹, 취업, IT행사를 지원합니다 okky.kr 스택 트레이스란? 스택 트레이스는 프로그램이 시작된 시점부터 현재 위치까지의 메서드 호출 목록이다. 스택 트레이스는 예외가 발생할 경우 JVM이 어디서 예외가 발생했는지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스택 트레이스 예시 다음 코드는 강제로 NPE(NullPoniterException)를 발생시키는 코드이다. 대체로 개발을 하게 되면 여러 클래스를 참조하며, 외부 클래스의 ..

Error starting ApplicationContext. To display the conditions report re-run your application with 'debug' enabled.

오류 원인 인텔리제이 환경에서 스프링 부트를 통해 웹 프로젝트를 실행하다가 만난 에러이다. 스프링에서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시작하려던 중 오류가 발생했다고 뜬다. debug 모드를 활성화한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다시 실행하라고 한다. 에러 메시지 중 Action을 살펴보면, 8080 포트가 이미 사용되고 있으니, 해당 프로세스를 중지하거나 다른 포트를 사용하라고 한다. 첫 번째 방법 (프로세스 강제 종료) 8080 포트가 이미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만약, IDE에서 다른 프로젝트가 실행되고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면, 실행 종료하는 것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지만 IDE 상에는 아무 문제가 없다면 명령 프롬프트 창을 통해 해당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해야 한다. 윈도우의 명령 프롬프트(cmd)를 실행..

[Network] 크롬 브라우저의 에러 종류

Aw, Snap! (앗, 이런!) Chrome 브라우저가 웹 페이지를 로드하는 데 문제가 발생한 경우이다. 페이지가 느리게 로드되거나, 열리지 않을 수도 있다. ERR_NAME_NOT_RESOLVED 웹 주소(호스트 이름)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발생하는 에러이다. ERR_INTERNET_DISCONNECTED 사용 중인 디바이스가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았을 때 발생하는 에러이다. ERR_CONNECTION_TIME_OUTERR_TIMED_OUT 페이지에 접속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초과한 경우 발생하는 에러이다. 인터넷 연결이 느리거나, 웹 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가 많을 경우 발생할 수 있다. ERR_CONNECTION_RESET 웹 페이지 연결을 방해하는 요소가 있을 경우 발생하는 에러이다. ERR_NE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