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ObjectMapper 2

[Ktor] Kotlin 객체로 Yml 파일 읽어서 사용하기 - Jackson 라이브러리 활용

Intro Spring Boot에서는 @Value 어노테이션을 통해 yml, properties 등 파일의 구성 정보를 쉽게 읽어서 값을 가져올 수 있다. 반면에 Ktor 프레임워크에서는 Kotlin 코드, HOCON(.conf), YAML(.yaml 또는 .yml) 파일을 통해 다양한 서버 환경 변수를 구성할 수 있다. yml(yaml) 파일을 통해 설정한 정보들을 관리할 경우에는 여러 라이브러리(Jackson, snakeyaml 등)를 활용하여 yml 파일을 직접 읽어서 변환한 후 사용해야 한다. Spring Boot 환경과 유사하게 YML 파일로 서버 환경 변수를 구성하고, Jackson 라이브러리를 활용해서 YML 파일을 객체로 매핑하여 프로퍼티 값으로 사용해 보고자 한다. build.gradle..

[Java] 자바 JSON 라이브러리 Jackson - ObjectMapper 사용법

Jackson Jackson 라이브러리는 자바에서 데이터 처리를 위한 라이브러리로 xml, yml, properties, csv, json 등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라이브러리다. 일반적으로 자바용 JSON 라이브러리로 알려져 있다. Jackson 라이브러리는 스트림 방식으로 속도가 빠르고 유연하며, 어노테이션 방식으로 메타 데이터를 기술할 수 있다. ObjectMapper를 통해 Java 객체와 JSON 형식의 문자열 간의 직렬화(Serialization), 역직렬화(Deserialization)가 가능하다. 스프링 부트에서는 Jackson 라이브러리가 기본적으로 추가되어 별도의 의존성 추가 없이 사용할 수 있다. Jackson 라이브러리 3가지 핵심 모듈 jackson-core low-l..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