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 Spring Boot에서는 @Value 어노테이션을 통해 yml, properties 등 파일의 구성 정보를 쉽게 읽어서 값을 가져올 수 있다. 반면에 Ktor 프레임워크에서는 Kotlin 코드, HOCON(.conf), YAML(.yaml 또는 .yml) 파일을 통해 다양한 서버 환경 변수를 구성할 수 있다. yml(yaml) 파일을 통해 설정한 정보들을 관리할 경우에는 여러 라이브러리(Jackson, snakeyaml 등)를 활용하여 yml 파일을 직접 읽어서 변환한 후 사용해야 한다. Spring Boot 환경과 유사하게 YML 파일로 서버 환경 변수를 구성하고, Jackson 라이브러리를 활용해서 YML 파일을 객체로 매핑하여 프로퍼티 값으로 사용해 보고자 한다. build.grad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