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6

[Web] 웹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개념 정리 및 구현, 기술

웹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란? 웹 애플리케이션의 구조를 간단하게 도식화하면 위 이미지로 나타낼 수 있다. 웹 브라우저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웹 서버에 도달하게 되고,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데이터베이스를 거쳐 필요한 리소스를 받아 클라이언트로 응답한다. 이때 클라이언트는 결과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웹사이트 vs 웹 애플리케이션 웹사이트(Website)와 웹 애플리케이션(Web application)은 일상에서 혼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이 둘은 서로 다른 개념이다. 웹 개발 영역에서 웹사이트(Website)는 일반적으로 정적 페이지들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만약, 웹사이트에서 동적 페이지를 포함하게 되면 이는 웹 애플리케이션(Web application)이 된다. 웹 애플리..

[Web]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과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CSR)

웹 개발을 하기 위해서는 SSR(Server Side Rendering)과 CSR(Client Side Rendering)의 차이점을 알아야 한다. SSR이란?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은 JavaScript가 웹 페이지를 브라우저에서 렌더링하는 대신에, 서버에서 렌더링 하는 것이다. 실 생활 예시로는 온라인에서 상품을 주문했을 때, 배송 출발지에서 조립을 완료한 상태로 보내는 것과 유사하다. 브라우저가 서버의 URI로 GET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정해진 웹 페이지 파일을 브라우저로 전송하고, 서버의 웹 페이지가 브라우저에 도착하면 완전히 렌더링된다. 서버에서 웹 페이지를 브라우저로 보내기 전에, 서버에서 완전히 렌더링했기 때문에 서버 사이드 렌더링이라 한다. 웹 페이지의 내용에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Web] 웹(Web)의 개념 정리

웹(Web)이란?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은 전 세계에 퍼져 있는 인터넷 정보들을 서로 거미줄처럼 연결해준다. 즉, 인터넷에 연결된 사용자들이 서로의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이러한 월드 와이드 웹을 WWW으로 줄여 말하기도 하며, 간단히 웹 또는 W3라고도 한다. 웹 프로젝트는 1989년 유럽 핵물리 공동 연구소(CERN)의 연구원이었던 팀 버너스 리에 의해서 처음 시작되었다. 연구소 내의 직원들이 수많은 정보를 주고받는 상황에 다른 운영체제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어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든 개념이다. 따라서 일정한 형식의 기준인 HTML을 제안하게 되었고, HTML은 운영체제나 애플리케이션이 달라도 인터넷 브라우저만 있으면 모두가 동일한 정보를 ..

[Network/Web] 도메인(Domain)과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 : Domain Name System) 개념 정리

도메인 네임이란? (Domain name) 만약, 웹 사이트의 주소를 https://123.123.123.123/hello/hello.html와 같이 IP 주소로 작성해야 한다면 기억하기가 매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기억하기 어려운 표현을 심볼화된 이름인 도메인 이름을 사용한다. 인터넷 연결되는 호스트 컴퓨터에 부여되는 도메인 이름의 모호성과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IP 주소와 도메인 이름 사이에 제어가 가능한 이름 공간(Name space)을 구성한 다음, 이로부터 각 호스트 컴퓨터에 이름을 부여하도록 한다. 이름 공간은 각 IP 주소마다 유일한 이름을 연결시키며, 평면구조 혹은 계층구조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비영리 단체인 ICANN은 현재 4억 개에 달하는 모든 도메인을 관리하고 있다..

[Network/Web] URL이란? - URL 개념 정리 - URL과 URI의 차이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URL은 웹에 게시된 어떤 자원을 찾기 위해 브라우저에서 사용되는 메커니즘으로, 인터넷상에서 HTML이나 이미지 등 리소스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서식으로 사용되기 위해 등장했다. 웹에는 수 많은 파일이 연결되어 있는데, 웹에 존재하는 파일을 다른 파일과 구별하기 위한 식별자로 사용되는 것이 URL이다. 인터넷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입력한 URL은 서버가 제공되는 환경에 존재하는 파일의 위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구글(https://google.com:443)에 접속하면 google.com 주소가 가리키는 서버의 기본 폴더를 뜻한다. CLI나 GUI 환경에서 폴더와 파일의 위치를 찾아 이동하듯이 슬래시(/)를 이용해 서버의 폴더에 진입하거나 파일을 ..

[Spring] 1. 스프링 프로젝트 환경 설정 (스프링이란? 특징 및 개발 환경 설정) - Gradle

본 내용은 온라인 강의 사이트 인프런의 김영한 님의 강의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내용을 바탕으로 공부하여 정리한 것임을 알려드립니다. 스프링이란? 스프링은 기본적으로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지칭하는 것으로 Java 플랫폼을 위한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 프레임워크입니다. 스프링은 Node.js와 Django, Flask 등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웹 개발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프레임워크 중 하나입니다. 사실 스프링은 정말 다양한 기능들이 존재합니다. Spring Data, Spring Boot, Spring Security ... 이러한 수많은 기능들 중 제가 다루고자 하는 것은 Spring Framework입니다.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특징 1. 의존성 주입(DI..

반응형